tokipona 65

품사 1 : 명사

▶ 토키포나는 품사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이 위치에 따라 역할이 다르며, 품사마다 해석이 달라기 때문에 어느정도 품사별 구분은 익혀두면 좋다. ▶ 명사는 주어에 위치할 수 있다. ▷ 주어 li 서술어 → jan li soweli. (사람은 동물이다.) ▶ 명사는 서술어에 위치할 수 있다. → ona li jan. (그는 사람이다.) ▶ 명사는 기본적으로 단복수의 구분이 없다. ▶ 하지만 "다수, 여럿"을 나타내야 할 경우 형용사 "mute"를 명사 뒤에 붙여 사용한다. → mi 나, 우리 // mi mute 우리들 → waso 새 // waso mute 새들, 새떼 ▶ 명사에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 3인칭 대명사 ona 는 "그" 또는 "그녀" 의 의미를 모두 갖는다. ▶ 명사의 성별 구분이..

문법적 표지 li

[ li ] ▶ " li " 는 주어와 서술어를 구분해주는 단어. ▷ 주어 li 서술어 ▶ " li " 뒤에는 서술어가 되는 명사나 형용사 또는 동사가 올 수 있다. ▷ 토키포나의 단어는 품사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어, 사실상 문맥(해석)으로 품사를 구분한다. → (명사) ona li jan. 그는 사람이다. → (동사) ona li tawa. 그는 떠난다. → (동사) ona li moku e pan. 그는 밥을 먹는다. / 식사를 한다. → (형용) ona li suli. 그는 (키/덩치가)크다. ▶ " li " 는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생략된다. → mi lukin. (나는 본다.) → sina toki. (너는 말한다.) ▶ 하지만,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

Toki Pona 기본적인 특징

▶ Toki Pona의 기본 문장 구조는 이러하다. → 주어(명사) li 서술어(명사, 형용사, 자동사) (전치사구) → 주어(명사) li 타동사 e 목적어 (전치사구) ※ 서술어 : 한국어의 "~이다/하다"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명사, 형용사, 동사" 등이 온다. ▶ Toki Pona에는 영어의 "be동사"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다. ▷ 현재 필자가 속해있는 KTPA(한국 토키포나 옵챗방)의 UTALA님과 jan Epen 님이 Toki Pona의 창조주 jan Sonja를 통해 확인한 결과, Toki Pona의 be동사는 생략되있다고 볼 수도 있다고 하였다. ▶ Toki Pona는 Sonja Lang(손야 랭)이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2001년에 인터넷에 공개한 인공언어로, 14개의 음소와 약 130..

Toki Pona 문자와 발음

1. 문자 자음 9개 모음 5개 j k l m n p s t w a e i o u 2. 발음 자음문자 발음 한글발음표기 대체(허용)발음 한글발음표기 k kill ㅋ(ㄲ) garden ㄱ l let ㄹ m met ㅁ n net ㄴ p pit ㅍ(ㅃ) bit ㅂ s sink ㅅ zoo ㅈ t too ㅌ(ㄸ) dog ㄷ w wet 우 j yet 이 ▶ j 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영어의 자음과 같이 발음이 된다. ▶ j 는 영어의 j와 같은 발음이 아니라, 영어 y와 같은 발음을 가지고 있다. ▶ Toki Pona는 적은 소리값을 가졌기에, 발음에 융통성을 가진다. 대체(허용)발음이 그 예시. ▶ 한글발음표기 방식과 실제 발음이 전부 1:1 대응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음의 융통성 덕분에 한국식 발음으로도 ..

토키포나 초보자를 위한 번역 가이드

토키포나에 갓 입문한 입문자 혹은 초보자분들이 가장 흔히 하는 실수는 자연어의 모든 표현을 토키포나로 표현하려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든 단어의 사소한 차이를 일일이 구별해서 토키포나로 표현하려 하는데, 이는 토키포나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일어나는 상당히 흔한 일입니다. 언어를 새로배운 초보자는 자기가 배운 언어를 이용해 무언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을 번역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샘솟지만, 모든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려는 자연어와, 모든 것을 카테고리화 시켜 뭉뚱그려 표현하는 토키포나의 특성을 아직 알지 못한 채 번역을 시도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토키포나답지 못한 번역을 만들어내곤 합니다. 그래서 토키포나로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특징은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하면 조금..

토키포나 한국 지명

※ 지명에 대한 공식적인 표기법이 없기에,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호 [ ma ] 국가명 한국 ma Anku 정식 명칭 대한민국 ma Tejaminku 다른 명칭들 남한 ma Anku seli 남조선 ma Soson seli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시 / 특례시 [ ma tomo ] ※ ma tomo 대신 ma 를 사용해도 무방함 [ ★참 고 사 항 ] ma Pusan : "부산"이라는 이름의 지역, 구역 ma tomo Pusan : "부산"이라는 이름의 도시 서울특별시 ma tomo Solu 부산광역시 ma tomo Pusan 인천광역시 ma tomo Inson 대전광역시 ma tomo Teson 광주광역시 ma tomo Kuwansu 대구광역시 ma tomo Teku 울산광역시 ma..

자연어를 토키포나로 번역함에 대한 극히 주관적인 생각(스압).

※ 이 글의 언급된 방식은 모두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극히 주관적인 방법이므로 참고로만 하시길 권장합니다. 토키포나에 갓 입문했거나, 문법을 튼튼히 공부하지 않은 상태로, 토키포나로 자연어를 번역하다 보면 다른언어로 번역한 문장에 비해, 토키포나로 번역한 문장은 상당히 망가진 형태를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토키포나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채, 다른 언어와 같은 방식으로 번역하다 보니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장난감 자동차(토키포나)로 실제 자동차(자연언어)의 효과를 보려는 것과 비슷합니다. 토키포나는 다른 자연언어들과 다르게, 철학적 의도를 가지고 만든 일종의 실험어이며, 특히 최소주의를 지향하는 언어라 모든 뉘앙스와 의미를 섬세하게 나타내려는 자연어와는 극도로 대비되는 성질을 지니고 ..

입문자들이 자주 묻거나 틀리는 QnA

Q> 처음 토키포나 커뮤니티에 들어가면 "toki!", "kama pona"라고 듣는데, 무슨 뜻인가요? A> toki! 는 토키포나로 "안녕(하세요)!"라는 만날때 쓰는 인삿말이며, kama pona!는 환영의 의미로 쓰이는 "어서오세요" 또는 "환영합니다."라는 뜻입니다. Q> OOO 단어는 토키포나로 뭐라고 번역하나요? A> Toki Pona의 특징중 하나는 사람마다 같은 단어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동차는 tomo tawa(움직이는 구조물)로 흔히 번역되지만 , 그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겐 ilo tawa(이동하기 위한 수단), 자동차에 치였던 사람은 kiwen tawa(움직이는 단단한물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어들을 살펴보고, 내가 생각하는 그 단어에 대한 표현을 말하..

19. 감정 및 표현

불변사 a는 감정을 더하거나 강조합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1. 단독적으로 2. 문장의 맨 끝에서 3. 또는 명사구 맨 뒤에서 a a a ! 하하하! sina moku mute a! 너는 엄청 먹는구나! 불변사 o 는 세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1. 말을 걸거나, 부르는 대상이 누군지 나타내기 위해, 명사구 뒤에서. 2. 명령이나 요청표현을 사용하기 위해, 동사 앞에서. 3. 소망이나 욕구를 표현하기 위해, 동사 앞에서( li 가 o 로 대체된다). jan Minsu o! 민수야! o pilin ala e ijo ni. 이것을 만지지 마시오. jan Lusi o pona. 루시야 행복해지자. (= 루시야, 행복해지렴) 동물의 울음소리는 mu로 표현합니다. 야옹! mu!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

18. 인삿말

누군가에게 인사하기 위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toki! 안녕(하세요)! kama pona! 어서와 / 어서오세요! pona tawa sina! 복받으세요! seme li sin? 무엇이 새로워요? 헤어질 때, 떠나는 사람은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mi tawa. 안녕히 계세요. 배웅하는 사람은 이렇게 말할 수 있지요. tawa pona. 안녕히 가세요. 인삿말과 같은 표현들은 완전한 문장이 아닐 때도 있습니다.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포나 #토키 포나 #tokipona #toki pona #jan Sonja #인공어 #인공언어 #콘랭 #Conlang #Constructed language #Constructed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