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 ]
▶ " li " 는 주어와 서술어를 구분해주는 단어.
▷ 주어 li 서술어
▶ " li " 뒤에는 서술어가 되는 명사나 형용사 또는 동사가 올 수 있다.
▷ 토키포나의 단어는 품사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어, 사실상 문맥(해석)으로 품사를 구분한다.
→ (명사) ona li jan. 그는 사람이다.
→ (동사) ona li tawa. 그는 떠난다.
→ (동사) ona li moku e pan. 그는 밥을 먹는다. / 식사를 한다.
→ (형용) ona li suli. 그는 (키/덩치가)크다.
▶ " li " 는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생략된다.
→ mi lukin. (나는 본다.)
→ sina toki. (너는 말한다.)
▶ 하지만,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 모든경우에는 생략되지 않는다.
(= 주어가 mi 나 sina 외에는 전부 " li " 를 사용한다.)
→ mi en sina li lukin. (너와 나는 본다.)
→ ona li toki. (그는 말한다.)
→ jan Anku li olin. (한국인은 사랑한다.)
▶ 서술어가 두 종류 이상일 때는 li 를 한번 더 사용한다.
→ jan li moku li lape. (사람은 먹고 잠을 잔다.)
▶ 서술어의 주어가 mi 또는 sina 단독 주어로 사용될 때는 첫번째 서술어에서는 " li "를 생략하고, 두번째 서술어에서는 " li "를 서술한다.
→ mi moku li lape. (나는 먹고 잠을 잔다.)
▷ 과거 pu 만 출간된 시점까지는 창조주 jan Sonja는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 주어로 사용될 때는 문장을 둘로 나누었으나, ku 가 2021년 출시되면서, 위와 같은 방식이 공식적으로 인정 받았다.
→ (pu방식) mi moku. mi lape.
→ (ku방식) mi moku li lape.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포나 #토키 포나 #tokipona #toki pona #jan Sonja #인공어 #인공언어 #콘랭 #Conlang #Constructed language #Constructed languages
'토키포나 │ 토키포나의 모든 것 > 문법사전 │ 토키포나 문법 총망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 3 : 동사 (0) | 2022.07.22 |
---|---|
품사 2 : 형용사 (0) | 2022.07.22 |
품사 1 : 명사 (0) | 2022.07.22 |
Toki Pona 기본적인 특징 (0) | 2022.07.22 |
Toki Pona 문자와 발음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