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키포나 │ 토키포나의 모든 것/문법사전 │ 토키포나 문법 총망라

품사 1 : 명사

jan Sejulo 2022. 7. 22. 22:44

▶ 토키포나는 품사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이 위치에 따라 역할이 다르며, 품사마다 해석이 달라기 때문에 어느정도 품사별 구분은 익혀두면 좋다.

 

▶ 명사는 주어에 위치할 수 있다.

▷ 주어 li 서술어

→ jan li soweli. (사람은 동물이다.)

 

▶ 명사는 서술어에 위치할 수 있다.

→ ona li jan. (그는 사람이다.)

 

▶ 명사는 기본적으로 단복수의 구분이 없다.

▶ 하지만 "다수, 여럿"을 나타내야 할 경우 형용사 "mute"를 명사 뒤에 붙여 사용한다.

→ mi 나, 우리 // mi mute 우리들

→ waso 새 // waso mute 새들, 새떼

 

▶ 명사에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 3인칭 대명사 ona 는 "그" 또는 "그녀" 의 의미를 모두 갖는다.

 

▶ 명사의 성별 구분이 불가피하게 필요한 경우, 형용사 "mije(남성의)" 또는 "meli(여성의)"를 명사 뒤에 붙여 나타낸다.

→ jan mije lili (소년)

→ mama meli (어머니)

→ jan meli (여성)

→ jan sama mije (남자형제)

 

▶ 명사에는 영어 등에서 쓰이는 관사가 쓰이지 않는다.

 

▶ 인칭대명사 전용 단어가 있다.

1인칭 mi

2인칭 sina

3인칭 ona

 

▶ 주어가 mi 또는 sina가 단독으로 올 경우에는 문법적 표지 " li "가 생략된다.

→ mi jan. (나는 사람이다.)

→ sina kala. (너는 물고기다.)

 

▶ 하지만, 주어가 mi 또는 sina 가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 모든경우에는 생략되지 않는다.

(= 주어가 mi 나 sina 외에는 전부 문법적 표지 " li " 를 사용한다.)

→ mi en sina li jan. (너와 나는 사람이다.)

→ ona li jan. (그는 사람이다.)

→ ma Anku li ma. (한국은 육지다.)

 

▶ 인칭 대명사에는 꾸며주는 형용사가 '일반적으로'는 붙지 않는다.

→ ma suli (커다란 나라)

→ mi suli* (커다란 나)

 

▶ 인칭대명사가 다른 명사 뒤에 붙어 형용사와 같이 사용되면, 해당 인칭대명사는 소유형이 된다.

→ suwi mi (내 디저트)

→ mama sina (너희 부모님)

→ lipu ona (그의 책)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포나 #토키 포나 #tokipona #toki pona #jan Sonja #인공어 #인공언어 #콘랭 #Conlang #Constructed language #Constructed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