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처음 토키포나 커뮤니티에 들어가면 "toki!", "kama pona"라고 듣는데, 무슨 뜻인가요?
A>
toki! 는 토키포나로 "안녕(하세요)!"라는 만날때 쓰는 인삿말이며, kama pona!는 환영의 의미로 쓰이는 "어서오세요" 또는 "환영합니다."라는 뜻입니다.
Q>
OOO 단어는 토키포나로 뭐라고 번역하나요?
A>
Toki Pona의 특징중 하나는 사람마다 같은 단어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동차는 tomo tawa(움직이는 구조물)로 흔히 번역되지만 , 그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겐 ilo tawa(이동하기 위한 수단), 자동차에 치였던 사람은 kiwen tawa(움직이는 단단한물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어들을 살펴보고, 내가 생각하는 그 단어에 대한 표현을 말하면 됩니다.
만약에 정말 머리를 짜내도 모르겠다면, 물어볼때 어떤 맥락에서 그 단어가 쓰이는지 얘기해준다면 좀더 본인의 질문에 근접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Add>
이 질문은 아마 외국어를 배우는 모든 입문자들이라면 누구나 가장 자주, 가장 먼저 물어보는 질문일 것입니다.
우선 토키포나라는 인공언어의 특성을 알아야 하는데, 토키포나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가 아닌, 세상을 간결하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자 하는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한 철학언어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다른 언어들과는 달리, 단어 대 단어의 의미 대응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과일 kili, 먹다 moku 와 같이 몇몇 단어는 의미가 정해져 있지만, 사실 이 단어들은 많은 단어들을 포괄하는 대표 단어일 뿐입니다. kili 는 사과도, 배도, 바나나도, 버섯등 모든 열매를 지칭할 수 있으며, moku 도 먹다 말고도 마시다, 삼키다 등의 먹고 마시는 행위를 모두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단어 하나하나가 일종의 카테고리인 셈이죠.
만약에 사과를 나타내고자 한다면 kili 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과일과 구분이 필요할 때, suwi 나 loje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를 넣기도 합니다. 많은 분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기 위해 (예 : 바나나 - kili jelo suwi palisa 기다랗고 달콤한 노란 과일) 그 단어의 특징을 길게 나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경우는 토키포나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사항이므로 가급적이면 심플하게 나타내기를 권합니다.
Q>
토키포나로는 "찬물"이라는 단어를 번역할 때 "차가운 물"이 아니라 "물 차가운" 이 된다고요?
A>
형용사가 명사앞에오는 한국어나 영어와는 다르게, 토키포나에서 형용사는 꾸며주는 단어의 뒤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차가운 물"이라는 단어를 번역할 때 "lete telo"가 아니라 "telo lete"가 됩니다.
Add>
토키포나에 입문한 초보분들이 가장 흔하게 틀리는 부분입니다.
우리나라말과 영어를 가장 흔하게 접하는 한국인에게는 어색하고 낯선부분일 수 있겠지만, 명사뒤에 형용사가 오는 방식은,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인도네시아어 등에서 꽤나 흔하게 나타나는 문법방식입니다.
Q>
불변사 " e " 는 한국어의 "~을/를"과 일치한다?
A>
A는 B를 좋아하다
→ B li pona tawa A (O)
→ A li pona e B (X)
A는 B를 가다
→ A li tawa B (O)
→ A li tawa e B (X)
A는 B를 온다
→ A li kama tawa B (O)
→ A li kama e B (X)
Add>
불변사 e 는 한국어와 ~을/를 과 매우 유사한 단어입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한국어 해석 ~을/를 에 'e' 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ona 는 형용사로 "좋은" 이라는 뜻이지만 pona e 형태로 사용되면 일반적으로 "~을 수리하다" 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tawa 는 자체적으로 "~에 가다" 라는 뜻을 갖고 있어서 tawa 뒤에 따로 전치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tawa e 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을 옮기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kama 는 "오다"라는 뜻이지만, tawa 와는 다르게 단순히 "오다"라는 뜻이므로 "~에 오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kama 뒤에 tawa를 붙입니다. kama e 로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으론 "~을 일으키다"라는 뜻이 됩니다.
이와 같이 동사는 e가 붙지않는 자동사와 e가 붙는 타동사의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e가 붙는 타동사는 "~을 동사작용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Q>
pi 는 영어의 "of" 나 한국어의 "~의"가 아니다?
A>
pi 는 첫번째 그룹과, 그 첫번째 그룹을 꾸며주는 두번째 그룹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 tomo(건물) telo(액체) nasa(정신나간)
▶ tomo telo nasa 라고 하면 {(tomo telo) nasa} 가 되어 미친(nasa) 화장실(tomo telo)이 되지만
▶ tomo pi telo nasa 라고 하면 {tomo pi (telo nasa)} 가 되어 술(telo nasa)을 파는 가게(tomo)가 됩니다.
Add>
pi 는 기본적으로 영어의 of (한국어의 "의")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토키포나는 뒤에서 앞의 명사를 꾸며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of 의 역할이 따로 필요가 없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pi 없이 3개 이상의 단어를 나열하면 의미의 혼동이 생길 수 있으므로 pi 를 사용하여 pi 뒤에 오는 단어끼리 묶어줍니다.
참고로, pi 는 단어끼리 묶어 의미를 구분짓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pi 뒤에는 두개이상의 단어가 와야 합니다.
예로들어 telo nasa 는 telo pi nasa 와 같기 때문에 굳이 pi 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Q>
" li " 는 언제 생략하나요?
A>
mi 또는 sina 가 "단독"으로 주어로 사용될 때만 " li "를 생략합니다.
mi 나 sina 가 주어라도, mi en sina, mi mute, sina mute 또는 jan pona en mi 와 같이 mi 나 sina 가 혼자 주어로 쓰이지 않는다면 무조건 li 를 사용합니다.
Q>
토키포나에서 대문자를 쓰면 안되나요?
A>
토키포나에서 대문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외래어의 고유명사(고유형용사)를 나타낼 때만 사용합니다.
문장의 맨 앞일지라도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ma Solu (서울)과 같이, 외래어 단어를 표현할때만, 고유명사(고유형용사) 맨 앞글자에 대문자를 사용합니다.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포나 #토키 포나 #tokipona #toki pona #jan Sonja #인공어 #인공언어 #콘랭 #Conlang #Constructed language #Constructed languages
'토키포나 │ 토키포나의 모든 것 > 정보부록 │ 한국인을 위한 토키포나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키포나 초보자를 위한 번역 가이드 (0) | 2022.07.22 |
---|---|
토키포나 한국 지명 (0) | 2022.07.22 |
자연어를 토키포나로 번역함에 대한 극히 주관적인 생각(스압).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