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키포나 │ 토키포나의 모든 것/문법사전 │ 토키포나 문법 총망라

전치사

jan Sejulo 2022. 7. 22. 23:02

 "전치사"는 명사와 명사의 관계를 이어주는 단어로, 우리말에서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단어.

→ jan ni li moku e pan lon tomo moku. (저 사람은 식당에서 식사를 한다.)

 

▶ 전치사는 서술어 뒤에 붙어 부가적 설명을 해주며 또한 서술어에 위치할 수 있다.

▷ 토키포나 공식문법서 pu 에서는 문장의 맨 끝에 위치한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주어의 위치에서는 전치사구를 사용하지 않으나, 영어권에서는 간혹 비문법적으로 쓰이곤 한다.

 

▶ 즉, 전치사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동사의 형태로도 사용된다.

→ (전치사) jan li moku e pan kepeken ilo moku. (사람은 식기를 사용해 식사를 한다.)

→ (서술어) jan li kepeken ilo. (사람은 도구를 사용한다.)

▷ 영어로 치자면, be동사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토키포나는 be동사를 생략하는 언어로 봐도 무방하다.

▷ 이러한 용법은, 인도네시아어, 중국어 등에서 볼 수 있다.

 

▶ 문법적 표지 pi 가 영어의 of 에 대응하는 단어로 여겨져 pi 를 전치사로 보는 경우가 흔히 있는데, pi 는 전치사가 아니며, 영어의 of 와는 다른 역할을 한다.

▷ pi 는 명사와 명사구의 구분을 목적(pi 가 없어도 토키포나는 형용사가 명사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이므로)

▷ of 는 명사와 명사를 수식하기 위함


※아래의 용법은 "주어 + (li) + 동사(+전치사) + 보어" 의 구조를 가진 전치사/동사적 용법.

전치사로 쓰이는 단어들의 형용사 용법은 서술하지 않음.


 tawa

 

[동사 뒤에 올 때]

 tawa는 방향을 나타낸다.

 ~에, ~에게, ~로, ~를 향해 등

→ ona li toki tawa mi. (그는 나에게 말했다.)

 

[단독적 사용]

▶ tawa는 어느 방향을 향한 이동 또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로 이동하다, ~에 가다 등

→ mi mute li tawa tomo sona. (우리는 학교에 간다.)


 lon

 

[동사 뒤에 올 때]

 lon은 어떠한 위치, 장소를 나타낸다.

 ~에(서), ~안에(서) 등

→ mi pali lon tomo moku ni. (나는 저 레스토랑에서 일한다.)

 

[단독적 사용]

▶ lon 은 어떠한 곳에 위치함 또는 존재함을 나타낸다.

 ~에 있다 등

→ telo li lon poki lete. (물은 냉장고에 있다.)


 kepeken

 

[동사 뒤에 올 때]

 kepeken은 도구를 나타낸다.

 ~을/를 사용하여

→ mi pali e tomo ni kepeken suwi. (나는 사탕으로(=을 사용해서) 이 집을 만들었다.)

 

[단독적 사용]

▶ kepeken 이 동사(서술어)로 사용될 때, "~을 사용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문법적 표지 e 를 사용하지 않는다.

 ~을/를 사용하다 등

→ mi kepeken ijo. (나는 그것을 사용한다.)

 

▷ 현재는 구식 문법이 된 jan Pije 의 문법에서는 kepeken 이 동사로 사용될 때 문법적 표지 e 를 사용했다.

 이는 kepeken 을 동사로 본 것이나, 현재는 전치사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또는 전치사용법을 사용해 e를 생략하는 것이 우세하다.

→ mi kepeken e ijo. (나는 그것을 사용한다.)


 tan

 

[동사 뒤에 올 때]

 tan은 출발점과 이유, 원인을 나타낸다.

 ~에서(부터), ~로 부터, ~때문에 등

→ mije li kama tan ma Nijon. (그 남자는 일본에서 왔다.)

→ utala suli ni li kama tan nasin sewi. (그 전쟁은 종교때문에 발발했다.)

 

[단독적 사용]

▶ tan은 출신, 유래, 기원을 나타낸다.

 ~출신이다, ~에서 왔다, ~에서 나오다 등

 mije ni li tan ma Pesin. (저 남자는 북경출신이다. = 저 남자는 북경에서 왔다.)


 sama

 

[동사 뒤에 올 때]

 sama는 유사함을 나타낸다.

▶ ~와 같은, ~와 같이 등

→ ona li lukin sama waso pi tenpo pimeja. (그는 올빼미 같이 생겼다.)

 

[단독적 사용]

▶ sama는 유사함을 나타낸다.

 ~와 같다 등

→ pan suwi ni li sama suwi. (이 케이크는 푸딩같다.)

 

#도기보나 #도기 보나 #토키포나 #토키 포나 #tokipona #toki pona #jan Sonja #인공어 #인공언어 #콘랭 #Conlang #Constructed language #Constructed languages

'토키포나 │ 토키포나의 모든 것 > 문법사전 │ 토키포나 문법 총망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법적 표지 o (명령과 호출)  (0) 2023.10.23
위치명사  (0) 2022.07.28
문법적 표지 e  (0) 2022.07.22
품사 3 : 동사  (0) 2022.07.22
품사 2 : 형용사  (0) 2022.07.22